From 05bf47a29a7bc56de172b49a5ce586f7f7a4740f Mon Sep 17 00:00:00 2001 From: 2paperstar Date: Fri, 13 Dec 2024 00:11:26 +0900 Subject: [PATCH] chore: remove unnecessary topic --- 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 5 ----- 1 file changed, 5 deletions(-) diff --git a/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b/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index cfaff48..3433717 100644 --- a/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 b/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 -382,8 +382,3 @@ IPv4와 IPv6가 한번에 존자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혼합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IPv6 데이터그램을 IPv4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 캡슐화 해서 IPv4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면 IPv4 네트워크 내에서도 IPv6 네트워크 간 통신이 가능하다. - -Google의 통계에 따르면 30%의 클라이언트가 IPv6를 사용하고, -NIST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1/3 도메인이 IPv6를 지원한다. -이미 IPv4를 지원하는 서비스들이 체계를 유지하는 것들에 의해서 -비용이 많기 때문에 IPv6로 전환하는 것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