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열인 것과 배열이 아닌 단수인 것
- 바뀌는 것과 바뀌지 않는 것을 구분해야 디자인 시스템 구조를 짤 수 있다. -> 바뀌는 것들은 매개변수,props가 된다. -> 의존성 주입
- 값이 바뀌는 건 매개변수나 prop으로 주입하면 되는데...
- 타입이 바뀌면 어떻게 하지? => 제네릭 타입 매개변수를 받는다
- 타입스크립트는 제네릭의 타입을 알아서 추론한다
- 모르면 unknown이라고 한다
- 타입스크립트는 제네릭의 타입을 알아서 추론한다
- 매개변수를 받아서 jsx로 리턴해주는 걸 함수 컴포넌트(Function Component)라고 한다~
({ data }) => <jsxbla></jsxbla>
{ data: T }
를 받는 함수 컴포넌트는React.FC<{ data: T }>
라고 한다- 리액트에 key를 주는 이유
- 리액트는 비포와 애프터만 비교하기 때문에~ - key가 없으면 2번을 삭제한 건지, 3번을 삭제한 건지 몰라서~ 2개만 남으면, 3번 째걸 지워버린다~ 화면
- 자기의 지역 상태가 있는 input 같은 컴포넌트면~ key가 없으면 문제!
- 1번 폼 1313tasr 토끼 쿠키
- 2번 폼 54327abc 양배추 스프
- 하지만... 밖에서 prop으로 넣어주거나, 데이터가 안 바뀌거나, 전역 상태를 가져오는 건 상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