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7\354\236\245/\354\240\225\353\246\254.md" "b/7\354\236\245/\354\240\225\353\246\254.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8b12289 --- /dev/null +++ "b/7\354\236\245/\354\240\225\353\246\254.md" @@ -0,0 +1,31 @@ +## 신승준 + +- https://www.totaltypescript.com/how-to-strongly-type-process-env + +## 이상조 + +- 남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공부하는 것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불필요한 state, effect로 우연에 맡기던 교육생들 불편해! +- react에는 handle, on prefix 정하는 것이 어렵더라. + +## 백지연 + +- 컴공인데도 보안 과목을 못 들었었는데 이번에 좀 알 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 비밀번호! *로 가리는 것에 대한 내용이 신선했다. +- 49자 함수로 논쟁이 발생했다! 영어로 인해 복잡도를 높이는 것보단 특정한 경우에 한글로 지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 변수명에 대해서 용어 사전을 만들고 있다. + +## 박승훈 + +- '쎄한데?'하는 것이 있으면 무시하지 말고 확인해보자. 본능을 직시하자. 끙끙대던 부분도 잠시 쉬고 오면 곧바로 해결될 때가 있다. +- '나중에 해야지'하면서 미루다보면 나중에 진짜 리팩터링하려고 해도 생각이 안 나더라. +- 내가 테스트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테스트하게 된다. +- 무의미한 이름보다 잘못된 이름을 사용하는 코드가 더 고약하다! +- 회사에서 컴포넌트 이름으로 한글을 쓰시는 승훈님. + +## 오혜성 + +- 완성이란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빼낼 것이 없을 때 얻게 되는 것이다. +- 시작해도 되겠다는 느낌이 안들어라고 선언해버리고 솔리테어 게임을 하며 빈둥대는 것 보단 프로토타입이라도 시작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용인되는 행동이다. +- 혼자 프론트 개발을 하다보니, 일관성과 생산성을 고민하게 된다. + +> 서기를 하니 더 귀기울여서 듣게 되네요! \ No newline at end of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