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QnA #42
Unanswered
BvrPark
asked this question in
CHAPTER 4 스트림 소개 - Q&A
Replies: 1 comment 2 replies
-
스트림의 장점 중 하나가 스트림에서 중간 연산이 수행될 때는 요소들이 실제로 처리되지 않고 미뤄놨다가 최종 연산시에만 필요한 데이터만 처리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는 연산하지 않는데 실제로 연산을 바로바로 처리하지 않는 점이 게으른 방식을 쓴다고 말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필요한 데이터만 처리하면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자료구조는 컴퓨터 과학에서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케 하는 자료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한다. 더 정확히 말해, 자료 구조는 데이터 값의 모임, 또 데이터 간의 관계, 그리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나 명령을 의미한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2 replies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
질문 1.
스트림과 컬렉션의 차이점에서 컬렉션은 적극적 생성, 스트림은 게으른 생성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컬렉션은 현재 자료구조에 포함된 모든 값을 계산한 다음 컬렉션에 추가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뜻일까요?
그리고 여기서 현재 자료구조라는 것이 무엇을 뜻할까요? 단순히 우리가 아는 배열, 스택, 큐 이런 자료구조는 아닌 것 같아서요.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