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refactor: clean up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2paperstar committed Dec 12, 2024
1 parent 05bf47a commit ed8dcb0
Showing 1 changed file with 9 additions and 4 deletions.
13 changes: 9 additions & 4 deletions content/posts/2024/12/08/network-layer-data-plane/index.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76,9 +276,14 @@ x의 값이 subnet part의 비트 길이를 나타낸다.
- 사용하지 않는 주소를 다른 호스트가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모바일 유저가 네트워크에 연결, 끊을 수 있게 해준다

host가 DHCP discover 메시지를 전달하고, DHCP server가 DHCP offset 메시지를 보내면
host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DHCP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DHCP server가
DHCP ack 메시지를 보내서 확인 받는다.
1. host가 DHCP discover 메시지를 전달하고
2. DHCP server가 DHCP offset 메시지를 보내면
3. host는 IP 주소를 요청하는 DHCP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4. DHCP server가 DHCP ack 메시지를 보내서 호스트는 확인 받는다.

실제로 IP가 할당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특정할 수 없어서
모든 메시지는 broadcast 메시지로 전달된다. 그리고 각 호스트는
자신이 보낸 요청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Transaction ID를 사용한다.

DHCP는 단순히 IP address를 할당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를 준다
- 클라이언트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할 게이트웨이, first-hop router의 주소
Expand Down Expand Up @@ -337,7 +342,7 @@ NAT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가지의 구현이 필요하다
로컬 네트워크로 전달

하지만 NAT에는 몇가지 논란이 있었다.
- router는 layer 3, network layer에서 동작하는데, NAT번호를 알아야 한다.
- router는 L3에서 동작하는데, 포트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L4까지 올라가야 한다.
- address자체가 부족한 것은 IPv6로 해결해야한다.
- end-to-end principle을 위반한다.
이 말은 router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만 해야 하는데,
Expand Down

0 comments on commit ed8dcb0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