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6팀 남궁철] [Chapter 2-2] 디자인 패턴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48

Open
wants to merge 4 commits into
base: main
Choose a base branch
from
Open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9 changes: 22 additions & 27 deletions .github/pull_request_templat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7,50 +7,45 @@
- Component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 비즈니스 로직에서 특정 엔티티만 다루는 계산을 분리하기

- [ ] Component에서 사용되는 Data가 아닌 로직들은 hook으로 옮겨졌나요?
- [ ] 주어진 hook의 책임에 맞도록 코드가 분리가 되었나요?
- [ ] 계산함수는 순수함수로 작성이 되었나요?
- [x] Component에서 사용되는 Data가 아닌 로직들은 hook으로 옮겨졌나요?
- [x] 주어진 hook의 책임에 맞도록 코드가 분리가 되었나요?
- [x] 계산함수는 순수함수로 작성이 되었나요?

### 심화과제

- 뷰데이터와 엔티티데이터의 분리에 대한 이해
- 엔티티 -> 리파지토리 -> 유즈케이스 -> UI 계층에 대한 이해

- [ ] Component에서 사용되는 Data가 아닌 로직들은 hook으로 옮겨졌나요?
- [ ] 주어진 hook의 책임에 맞도록 코드가 분리가 되었나요?
- [ ] 계산함수는 순수함수로 작성이 되었나요?
- [x] Component에서 사용되는 Data가 아닌 로직들은 hook으로 옮겨졌나요?
- [x] 주어진 hook의 책임에 맞도록 코드가 분리가 되었나요?
- [x] 계산함수는 순수함수로 작성이 되었나요?
- [ ] 특정 Entitiy만 다루는 함수는 분리되어 있나요?
- [ ] 특정 Entitiy만 다루는 Component와 UI를 다루는 Component는 분리되어 있나요?
- [ ] 데이터 흐름에 맞는 계층구조를 이루고 의존성이 맞게 작성이 되었나요?
- [x] 데이터 흐름에 맞는 계층구조를 이루고 의존성이 맞게 작성이 되었나요?

## 과제 셀프회고

<!-- 과제에 대한 회고를 작성해주세요 -->

### 과제에서 좋았던 부분

- 비즈니스 로직들을 순수함수로 분리하며 테스트하기 좋은 코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 액션에서 계산을 빼가면서 각 함수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테스트하기 좋게 분리할 수 있었습니다.
- 커스텀 훅으로 분리시켜 책임을 명확히하고 로직과 UI를 깔끔히 할 수 있었습니다.

### 과제를 하면서 새롭게 알게된 점

### 과제를 진행하면서 아직 애매하게 잘 모르겠다 하는 점, 혹은 뭔가 잘 안되서 아쉬운 것들
- 순수 함수를 사용하면 테스트 코드 작성이 훨씬 용이하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장점인 불변성과 부수효과 분리의 중요성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 커스텀 훅을 통해 상태 관리 로직을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추상화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 단일 책임 원칙에 따라 함수를 분리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체감했습니다

## 리뷰 받고 싶은 내용이나 궁금한 것에 대한 질문

<!--
피드백 받고 싶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남겨주세요
모호한 요청은 피드백을 남기기 어렵습니다.
### 과제를 진행하면서 아직 애매하게 잘 모르겠다 하는 점, 혹은 뭔가 잘 안되서 아쉬운 것들

참고링크: https://chatgpt.com/share/675b6129-515c-8001-ba72-39d0fa4c7b62
- 엔티티를 다루는 로직들과 UI들을 분리하는데 FSD가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만 시간 관계상 진행하지 못한점이 아쉽습니다
- 순수 함수와 훅의 적절한 책임 분배 기준을 정하는 것이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 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에서도 이러한 패턴을 잘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됩니다

모호한 요청의 예시)
- 코드 스타일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코드 구조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개념적인 오류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추가 구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리뷰 받고 싶은 내용이나 궁금한 것에 대한 질문

구체적인 요청의 예시)
- 현재 함수와 변수명을 보면 직관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함수와 변수를 더 명확하게 이름 지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해주실 수 있나요?
- 현재 파일 단위로 코드가 분리되어 있지만, 모듈화나 계층화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클래스를 분리하거나 모듈화를 진행하면 유지보수에 도움이 될까요?
- MVC 패턴을 따르려고 했는데, 제가 구현한 구조가 MVC 원칙에 맞게 잘 구성되었는지 검토해주시고, 보완할 부분을 제안해주실 수 있을까요?
- 컴포넌트 간의 의존성이 높아져서 테스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의존성을 낮추고 테스트 가능성을 높이는 구조 개선 방안이 있을까요?
-->
아키텍처 관련 질문

- FSD에 대해서 짧게 학습했으나 명확히 설계가 되질 않아 적용을 못했습니다. 혹시 이번 과제에서 FSD를 적용한 best practice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change: 1 addition & 0 deletions package.js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1,6 +31,7 @@
"eslint": "^9.12.0",
"eslint-plugin-react-hooks": "^5.0.0",
"eslint-plugin-react-refresh": "^0.4.12",
"jsdom": "^26.0.0",
"typescript": "^5.6.3",
"vite": "^5.4.9",
"vitest": "^2.1.3"
Expand Down
Loading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