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1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한상호] 7,8장 : 기술적 시행 관례, 길고 긴 여정 #24
The head ref may contain hidden characters: "7,8\uC7A5/\uD55C\uC0C1\uD638"
Conversation
bbbang105
commented
Nov 14, 2024
- 7,8장 정리 문서를 추가한다.
## 💡 느낀 점 | ||
1. 개발자들이 개발만 잘해서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들 한다. 그만큼 소프트 스킬이나 네트워킹 능력이 중요해졌다는 의미이며,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 `이럴 시간에 공부를 더 하고, 코드를 한 줄이라도 더 짜야 하지 않을까?` | ||
2. 다른 능력들의 중요도가 높아진 것도 맞지만, 우선 개발자는 `개발`을 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분을 잊지 말고 꾸준하게 학습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학습과 외부 네트워킹에 쓰는 에너지의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나는 근래에는 7:3 정도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있는 듯하다. | ||
3. `커리어에서 옳고 그른 것은 없다.` 라는 문구에 크게 공감하며, 이는 커리어 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를 놓고 보아도 맞다고 생각을 한다. 결과에 집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가 왜 이렇게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며 무너질 때가 올 것이다. 모든 과정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히 얻어가는 것이 있기에, 당장의 결과물 (물질적인 면)보다 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 ||
4. 이전에도 한 번 생각을 정리했었지만, 취업 시장이 얼어붙은 것도 맞으나 정말 실력 있는 사람들은 어느 상황에서도 취업을 잘 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변 환경 탓을 할 시간에, 본인을 한 번 더 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 발전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 👍
|
||
> 작성 일자 : 2024.11.08 / 작성자 : 한상호 | ||
## 💫 기억에 남는 문구 | ||
- `p.148` : 나쁜 코드는 암과도 같다. 처음에는 발견하기 어렵지만 문제로 드러난 이후에는 대응하기가 어렵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공감합니다..!
안좋은 코드임을 알면서 나중에 수정해야지! 라는 마음으로 넘겼던 코드들이 나중에 산더미가 되어 괴롭힌 적들이 있어 공감이 됩니다.
- `p.162` : 우리는 지속적으로 일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고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 ||
|
||
## 💡 느낀 점 | ||
1. 나쁜 코드를 발견했는데도 `나중에 해결해야지` 하며 백로그에 쌓아두는 것은 개발자에게 있어 치명적인 실수라고 생각을 한다. 나 또한 당장의 구현에 급급해 코드 퀄리티에 신경을 쓰지 못했던 적이 많았지만, 전체적인 생산성 측면에서 이는 분명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때문에 최근에는 항상 내가 짜고 있는 코드에 근거를 가질 수 있도록 `왜`라는 질문을 자주 하는 듯하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왜
가 정말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왜
를 달면서 코딩을 하면 나중에 다시 봐도 기억이 많이 나더라구요
|
||
## 💡 느낀 점 | ||
1. 나쁜 코드를 발견했는데도 `나중에 해결해야지` 하며 백로그에 쌓아두는 것은 개발자에게 있어 치명적인 실수라고 생각을 한다. 나 또한 당장의 구현에 급급해 코드 퀄리티에 신경을 쓰지 못했던 적이 많았지만, 전체적인 생산성 측면에서 이는 분명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때문에 최근에는 항상 내가 짜고 있는 코드에 근거를 가질 수 있도록 `왜`라는 질문을 자주 하는 듯하다. | ||
2. 이미 많은 양의 코드를 작성한 후 한 번에 리팩토링을 하기는 많이 어려운 것 같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계속해서 내가 작성한 코드를 바라보고 공부하며 개선할 지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코드 리뷰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다행히 이번 밋업 프로젝트에서는 함께 하는 백엔드 팀원과 많은 대화를 나누며, 코드 퀄리티 개선을 하고 있다. 큐시즘이 끝나더라도 계속해서 함께 공부하고 새로운 것들도 도입해보면서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좋은 팀원을 만나면 개발이 즐거워지는건 다 똑같나봐요 ㅎㅎ
|
||
## 💡 느낀 점 | ||
1. 개발자들이 개발만 잘해서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들 한다. 그만큼 소프트 스킬이나 네트워킹 능력이 중요해졌다는 의미이며,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 `이럴 시간에 공부를 더 하고, 코드를 한 줄이라도 더 짜야 하지 않을까?` | ||
2. 다른 능력들의 중요도가 높아진 것도 맞지만, 우선 개발자는 `개발`을 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분을 잊지 말고 꾸준하게 학습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학습과 외부 네트워킹에 쓰는 에너지의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나는 근래에는 7:3 정도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있는 듯하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컨퍼런스 열심히 다니는 모습을 보며 자극받습니다!
## 💡 느낀 점 | ||
1. 개발자들이 개발만 잘해서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들 한다. 그만큼 소프트 스킬이나 네트워킹 능력이 중요해졌다는 의미이며,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 `이럴 시간에 공부를 더 하고, 코드를 한 줄이라도 더 짜야 하지 않을까?` | ||
2. 다른 능력들의 중요도가 높아진 것도 맞지만, 우선 개발자는 `개발`을 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분을 잊지 말고 꾸준하게 학습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학습과 외부 네트워킹에 쓰는 에너지의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나는 근래에는 7:3 정도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있는 듯하다. | ||
3. `커리어에서 옳고 그른 것은 없다.` 라는 문구에 크게 공감하며, 이는 커리어 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를 놓고 보아도 맞다고 생각을 한다. 결과에 집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가 왜 이렇게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며 무너질 때가 올 것이다. 모든 과정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히 얻어가는 것이 있기에, 당장의 결과물 (물질적인 면)보다 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공감합니다..!
결과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지만, 결국엔 우리의 삶이잖아요!
나의 성장과 행복 이런 부분들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
||
## 💡 느낀 점 | ||
1. 개발자들이 개발만 잘해서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들 한다. 그만큼 소프트 스킬이나 네트워킹 능력이 중요해졌다는 의미이며,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 `이럴 시간에 공부를 더 하고, 코드를 한 줄이라도 더 짜야 하지 않을까?` | ||
2. 다른 능력들의 중요도가 높아진 것도 맞지만, 우선 개발자는 `개발`을 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분을 잊지 말고 꾸준하게 학습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학습과 외부 네트워킹에 쓰는 에너지의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나는 근래에는 7:3 정도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있는 듯하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외부 네트워킹 많이 다니시는거 너무 멋있습니다. 저도 같이 가요~
## 💡 느낀 점 | ||
1. 개발자들이 개발만 잘해서 되는 시대는 끝났다고들 한다. 그만큼 소프트 스킬이나 네트워킹 능력이 중요해졌다는 의미이며, 나 또한 이러한 부분에서도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 `이럴 시간에 공부를 더 하고, 코드를 한 줄이라도 더 짜야 하지 않을까?` | ||
2. 다른 능력들의 중요도가 높아진 것도 맞지만, 우선 개발자는 `개발`을 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분을 잊지 말고 꾸준하게 학습해야 할 것이며, 개인적인 학습과 외부 네트워킹에 쓰는 에너지의 정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나는 근래에는 7:3 정도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있는 듯하다. | ||
3. `커리어에서 옳고 그른 것은 없다.` 라는 문구에 크게 공감하며, 이는 커리어 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를 놓고 보아도 맞다고 생각을 한다. 결과에 집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가 왜 이렇게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며 무너질 때가 올 것이다. 모든 과정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분명히 얻어가는 것이 있기에, 당장의 결과물 (물질적인 면)보다 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저도 동의합니다!
결과가 받쳐주지 않을 때, 제 자신에 대한 의심을 하게되고 힘들어합니다ㅠ
하지만 이런 의심의 과정 또한 저를 더 성장시키는 것 같아요
- `p.162` : 우리는 지속적으로 일하는 더 나은 방법을 찾고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 ||
|
||
## 💡 느낀 점 | ||
1. 나쁜 코드를 발견했는데도 `나중에 해결해야지` 하며 백로그에 쌓아두는 것은 개발자에게 있어 치명적인 실수라고 생각을 한다. 나 또한 당장의 구현에 급급해 코드 퀄리티에 신경을 쓰지 못했던 적이 많았지만, 전체적인 생산성 측면에서 이는 분명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때문에 최근에는 항상 내가 짜고 있는 코드에 근거를 가질 수 있도록 `왜`라는 질문을 자주 하는 듯하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나중에' .. 저도 고쳐야할 나쁜 습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