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1
가게 ‐ 사장
먼저 가게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장님이 본인 인증을 통한 로그인을 거쳐야 했다.
그래서 사장님 플랫폼의 본질인 로그인 기능부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소셜로그인은 언제 하고, 회원가입 로그인은 언제하는 것일까? 왜 배달 플랫폼 사장님 로그인은 사용자 인증 후 회원가입 절차를 거칠까?
보통 로그인은 Session을 통해서 서버의 stateless한 상태를 해결해 로그인을 구현 할 수 있다.
여기서 나아가 JWT를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스토리지 없이, Session Cluster 없이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Kakao, Google 과 같은 곳으로 인증 / 인가를 위임함으로서 소셜 로그인을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러면 언제 소셜 로그인을 사용할까?
또, 간편한 소셜 로그인이 아닌 왜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 사장님 페이지에서는 동일하게 전화번호를 통해 인증을 한 후 회원가입을 하는 절차를 진행할까?
이렇게 로그인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사이트를 찾아보았다.
그러면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 1. 카카오 계정 / 구글을 통한 간편 소셜 로그인
- 네이버 / 배달의 민족 및 요기요의 사장님 사이트 같이 휴대전화 인증을 통한 회원가입 방식.
먼저 소셜로그인의 장점은
- 로그인 간소화
- 비밀번호에 대한 의존도 감소
- 신뢰할 수 있는 프로세스 등이 있다.
단점으로는 Google이나 Kakao와 같은 대기업에서 데이터 유출이 된다면 그 회사에서 제공하는 소셜 로그인 기능을 사용하는 회사 로그인 또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내가 내린 결론은, 소셜 로그인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을 간소화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 인증 인가 처리를 API를 제공하는 회사에 위임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이트에서 소셜 로그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단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과 같은 대기업에서는 다른 선택지가 없기 때문에 회원가입을 필수적으로 받을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왜 휴대폰 인증을 하는지에 대한 의문에 대한 답은, 가장 중요한 휴대폰 인증의 목적은, 비밀번호 재발급시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약관에 체크하게 하면서 정보 수집 및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의 인증방식 - 작동하는 전화번호만 있으면 된다.
네이버 회원가입 - 작동하는 전화번호만 있으면 된다.
위 페이스북과 네이버가 신원을 확인하지 않고 작동하는 전화번호만 있으면 가입이 가능한 이유는 비밀번호 재발급 기능만 필요하기에 굳이 신원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실명인증을 하는 곳은 중복 가입을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중복가입이 허용되지 않는 은행/증권/보험사 등에서 사용한다고 한다.
실제로 토스 앱을 확인해보니, 실명, 주민번호, 전화번호까지 인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 정보가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토스 앱을 이용조차 할 수 없다.
토스의 인증방식 - 철저한 본인 인증
배달의 민족 / 요기요의 사장님 페이지들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로그인을 진행한다.
배달의 민족 사장님 페이지 회원가입 첫 화면
먼저 아래 API를 통해 휴대폰 인증을 하는데, 해당 API는 통신사와 이름, 주민번호까지 어떻게 보면 토스와 동일한 수준의 개인정보를 요구한다.
왜그럴까?
Mobile-OK 휴대폰 본인확인 서비스 - 다양한 인증수단을 통해 기존 주민등록번호 기반의 실명확인 및 본인확인을 대체한 휴대폰 본인확인 서비스
해당 API를 제공하는 위 사이트에서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단순하게 네이버나 페이스북 같이 비밀번호 재발급 때문이 아닌, 사장님일 경우 일단 성인 인증이 가능해야 했기 때문에 성인이 아니라면 가입이 안되게 막아야 했다.
혹시나 해서 미성년자인 사촌동생 번호로 인증을 해봤는데, 회원가입 자체가 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성년자 휴대폰 인증 시 가입 불가
또한 배달의 민족등에서 제공하는 정산 기능같이 금융 거래 관련 기능 확장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전화번호가 아닌 철저한 본인인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회원가입 클릭 → 약관 동의 & 전화번호 인증 → 회원 인증 후 여러 아이디 등록 가능
아이디
-
영문 혹은 영문 + 숫자 4~20자
- 예외 메세지 : 영문 혹은 영문과 숫자를 조합하여 4자~20자로 입력해주세요
- 이미 존재하는 회원일 경우 : 이미 사용중인 아이디 입니다. 다른 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
비밀번호
-
영문+숫자 10자 이상 또는 영문+숫자+특수기호 8자 이상
- 예외 메세지 : 영문+숫자 10자 이상 또는 영문+숫자+특수기호 8자 이상으로 입력해주세요.
- 비밀번호 재입력
- 예외 메세지 : 비밀번호 확인을 위해 한번 더 입력해주세요.
- 일치 하지 않을 경우 : 위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다시 입력해주세요.
이메일 → 양식만 확인해 이메일 양식이 아닐 경우 예외 메세지, 별도의 인증 과정 거치지 않음.
- 예외 메세지 : 이메일 주소를 확인해주세요.
회원가입 후 화면
배달의 민족 회원가입 후 화면
요기요 회원가입 후 화면
💡 위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한 Owner에 필요한 값은 다음과 같다.
- 아이디
- 비밀번호
- 이메일
- 성함
- 전화번호
- 생년월일
❓가게 등록을 하는 것은 먼저 필수적으로 사업자 등록 번호가 필요하다. 왜그럴까?
사업자등록번호에 앞서 사업자등록증이란, 세무서에 사업 개시 사실을 등록하고 알렸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납세 의무때문에 법인이든 개인이든 모든 사업자는 사업 등록시 사업자 등록을 해야한다고 한다.
이는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관할 세무서에서 등록할 수 있는데, 사업자 등록을 하고 나면 부여되는 10자리 번호가 사업자등록번호인데, 세부적으로 본다면 각 숫자는 세부적인 의미가 있다.
모든것을 차치하고, 아래 요기요와 배달의 민족에서는 입점 시 아래와 같은 정보를 받고 있다.
요기요 입점 신청서
배달의 민족 입점 신청서
존재하지 않는 사업자 등록 번호 입력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예외 메세지가 발생했다.
💡 예외 메세지 :**입력하신 가게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영업 담당자 혹은 고객센터(1600-0987)로 문의해주세요**위 예외메세지는 배달의 민족 페이지에서 사업자 등록번호에 대한 검증 책임이 없다고 생각하여 따로 검증해주는 API가 있진 않을까 추측했고, 검색을 통해 해당 API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업자등록정보 진위 확인 및 상태 조회 서비스 오픈 API
하지만 실제 유효한 사업자등록번호라 하더라도 한번 더 센터에서 검증해주는 절차를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에서는 거치는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결론은, 가게 입점에 필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었다.
1. 유효한 사업자등록번호
2. 대표자명
3. 대표자 휴대번호
4. 가게 이름
5. 가게 로고
6. 가게 실제 주소
7. 가게 카테고리
카테고리를 배민에서는 변경하려면 담당자를 통해서 하거나 자유롭게 변경하기는 힘든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가게의 카테고리가 메뉴 변경 처럼 자유롭게 하는 일은 잘 일어나지 않을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든 의문은, 퓨전음식점은? 한식과 양식의 퓨전음식점은 양식인가? 그런 퓨전 음식점이 양식으로 등록해놓고 특정 한 두 메뉴만 한식을 팔고 싶다면?
위와 같은 의문점이 들어서, 일단 카테고리는 가게 : 카테고리를 1 : N으로 설정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먼저 나는 집 앞 한식집에서 점심을 먹으며 사장님께 배달의 입점 절차를 여쭤보았다.
하지만 그것은 해답을 주지 못했는데, 가게를 오픈하면 배달의 민족 관련 직원이 와서 입점 부터 메뉴 등록 까지 모두 일정 수수료를 받고 처리해 준다고 했다.
⇒ 해결방법이 되지 못함.
먼저, 생각해 보았을때 가게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들이 필요하다.
- 가게 이름
- 가게 전화번호
- 최소주문 금액
- 운영시간 (운영상태)
- 조리시간(
배달시간) - 가게 소개 (+원산지 표기)
- 가게 이미지 및 로고
- 메뉴
- 대표 메뉴
- 대분류
- 분류마다의 메뉴
- 각 메뉴마다 사진
- 각 메뉴마다 가격
- 각 메뉴마다 설명
- 메뉴마다 옵션
- 옵션마다 카테고리
- 옵션 필수 선택 여부
- 최대 / 최소 선택
- 각 세부 옵션 마다 가격
- 메뉴마다 옵션
위 리스트 중, 가게를 등록할 때 필요한 것은,아래와 같다고 생각한다.
- 가게 이름
- 가게 전화번호
- 사업자등록번호
- 대표자명
- 대표자 휴대번호
- 가게 주소
⇒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 아래와 같은 테이블 구조를 가질 수 있었다.
https://dbdiagram.io/d/64f8413c02bd1c4a5e0fcfab
- 아이디
- 비밀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휴대폰번호
- 이메일
✅ 원래 회원가입 시 이름 / 전화번호와 대표자 이름 및 전화번호 달라도 된다. 하지만 우리 서비스에서는 같은것으로 취급한다.
- 사업자등록번호
- 가게 이름
- 가게 정보
- 가게 전화번호
- 가게 로고
- 가게 이미지 (최소 3장)
- 카테고리 (Category)
- 가게 주소
- 가게 주인 정보 (Owner)
- 카테고리 이미지
- 카테고리 이름
- 메뉴 이름
- 메뉴 이미지
- 메뉴 정보
- 메뉴 우선순위 순서
- 메뉴 가격
- 메뉴 옵션
- 가게 정보 (Store)
- 옵션 그룹 이름
- 최대 옵션 개수
- 필수 / 선택 여부
- 가게 정보 (Store)
- 옵션 정보 (Option)
- 옵션 이름
- 옵션 가격
[웹기획가이드] 회원가입 서비스 ② - 본인인증, 왜 해야할까?
휴대전화번호가 최악의 회원가입 수단인 이유: 클럽하우스 사례
배민셀프서비스 - 배달의민족 사장님을 위한 가게관리 서비스
이렇게 하면 배달의민족 "주문건수"가 달라집니다[배달의민족_무상전수5편][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창업]
[배달1탄] 배달로 남는장사 가능할까? 배달어플의 차이점과 수수료! 깃발에 대한 설명!
사업자등록번호 숫자구분(10자리, 000-00-0000)의 내용과 의미
위 영상을 보면 배민 가게 실제 위치 및 카테고리는 변경이 불가한 것을 알 수 있다.